전체 글

전체 글

728x90
    [정보처리기사] 대칭 암호 알고리즘 vs 비대칭 암호 알고리즘

    [정보처리기사] 대칭 암호 알고리즘 vs 비대칭 암호 알고리즘

    개인키 암호 방식(대칭 암호 알고리즘) 개인키 암호화 기법은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한다. 개인키 암호화 기법은 대칭 암호 방식 또는 단일키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한다. 개인키는 제3자에게는 노출시키지 않고 데이터베이스 사용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나누어 가진다. 종류 : 전위 기법, 대체 기법, 대수 기법, 합성 기법 (DES, LUCIFER) 공개키 암호 방식(비대칭 암호 알고리즘) 공개키 암호화 기법은 서로 다른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한다.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 사용하는 키(공개키, Public Key)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게 공개하고, 복호화할 때의 키(비밀키, Secret Key)는 관리자가 비밀리에 관리하는 방법이다. 공개키 암호화 기법은 비대칭 암호 방식이라고도 하며, ..

    [정보처리기사]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정보처리기사]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은 페이지 부재(Page Fault)가 발생했을 때 가상기억장치의 필요한 페이지를 주기억장치에 적재해야 하는데, 이때 주기억장치의 모든 페이지 프레임 이 사용 중이면 어떤 페이지 프레임을 선택하여 교체할 것 인지를 결정하는 기법이다. OPT (OPTimal replacement, 최적 교체) 앞으로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을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 벨레이디(Belady)가 제안한 것으로, 페이지 부재 횟수가 가장 적게 발생하는 가장 효율적인 알고 리즘 FIFO(First In First Out) 각 페이지가 주기억장치에 적재될 때마다 그때의 시간을 기억시켜 가장 먼저 들어와서 가장 오래 있었던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 이해하기 쉽고, 프로그래밍 및 설계가 간단함 ..

    [정보처리기사] 경로 제어 프로토콜(Routing Protocol)

    [정보처리기사] 경로 제어 프로토콜(Routing Protocol)

    경로 제어 라우팅이란, 송/수신 측 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 중에서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기능이다. 최적 경로란, 데이터의 양이 어느 한 경로에 집중되는 것을 피하면서, 최저의 비용으로, 최단 시간에 송신할 수 있는 경로를 의미한다. 경로 제어 프로토콜 IGP(Interior Gateway Protocol,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하나의 자율 시스템(AS) 내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로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도 불리며, 최단 경로 탐색에 Bellman-Ford 알고리즘이 사용됨 소규모 동종의 네트워크(자율 시스템, AS) 내에서 효율적인 방법 최대 홉(Hop) 수를 15로 제한하므로 15..

    [정보처리기사] 정렬 알고리즘(Sorting Algorithm)

    [정보처리기사] 정렬 알고리즘(Sorting Algorithm)

    삽입 정렬(Insertion Sort) 삽입 정렬은 두 번째 원소부터 시작하여 그 앞의 원소들과 비교하여 삽입할 위치를 지정한 후, 원소를 뒤로 옮기고 지정된 자리에 자료를 삽입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선택 정렬(Selection Sort) 선택 정렬은 정렬되지 않은 데이터들에 대해 가장 작은 데이터를 찾아 가장 앞의 데이터와 교환해 나가는 방식이다. 버블 정렬(Bubble Sort) 서로 인접한 두 원소를 검사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 인접한 2개의 레코드를 비교하여 크기가 순서대로 되어 있지 않으면 서로 교환한다. 선택 정렬과 기본 개념이 유사하다. 퀵 정렬(Quick Sort) 퀵 정렬은 레코드의 많은 자료 이동을 없애고 하나의 파일을 부분적으로 나누어 가면서 정렬하는 방법으로 키를 기 준으로 작..

    [정보처리기사] IP주소 체계

    [정보처리기사] IP주소 체계

    IP주소 체계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이다. 숫자로 8비트씩 4부분, 총 32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IP 주소는 네트워크 부분의 길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A 클래스에서 E 클래스까지 총 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IPv6 IPv6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IP 주소 체계인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128비트의 긴 주소를 사용하여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IPv4에 비해 자료 전송 속도가 빠르다. 인증성, 기밀성, 데이터 무결성의 지원으로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Pv4와 호환성이 뛰어나다. 주소의 확장성, 융통성, 연동성이 뛰어나며, 실시간 흐름 제어로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한다. 패킷 크기를 확장할 수..

    [정보처리기사] 화이트박스 테스트 vs 블랙박스 테스트

    [정보처리기사] 화이트박스 테스트 vs 블랙박스 테스트

    화이트박스 테스트 화이트박스 테스트는 모듈의 원시 코드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원시 코드의 논리적인 모든 경로를 테스트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는 방법이다. 화이트박스 테스트 종류 기초 경로 검사 제어 구조 검사 블랙박스 테스트 블랙박스 테스트는 소프트웨어가 수행할 특정 기능을 알 기 위해서 각 기능이 완전히 작동되는 것을 입증하는 테스 트로, 기능 테스트라고도 한다. 블랙박스 테스트 종류 동치 분할 검사 경계값 분석 원인-효과 그래프 검사 오류 예측 검사 비교 검사

    [정보처리기사] NS차트

    [정보처리기사] NS차트

    나시슈나이더만도(Nassi–Shneiderman diagram, NSD)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구조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그래피컬한 디자인 표현이다. 이것은 1972년 당시 스토니브룩 대학교의 대학원생들이었던 아이작 나시와 벤 슈나이더가 개발하였다. 이 도표들은 프로그램의 구조를 보여준다는 면에서 스트럭토그램(structograms)이라고도 부른다. [참조] 위키백과 NS차트의 특징 논리 기술에 중점을 둔 도형을 이용한 표현 방법(Box Diagram, Chapin Chart) 순차, 반복, 선택, 다중 선택 구조등 표현 GOTO나 화살표 사용하지 않음, 선택과 반복 구조를 시각화 조건이 복합되어 있는 곳의 처리를 시각적으로 명확히 식별

    [HTML] 시맨틱 마크업(Semantic Markup)

    [HTML] 시맨틱 마크업(Semantic Markup)

    안녕하세요😎 개발자 재민콩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프론트엔드 개발을 진행할 때 자주 접하는 HTML에 관련된 내용인 시맨틱 마크업(Semantic Markup)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맨틱 마크업(Semantic Markup)은 웹 페이지의 구조와 콘텐츠를 더욱 의미 있는 방식으로 마크업 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HTML 요소를 적절한 의미와 역할에 따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맨틱 마크업을 사용하면 검색 엔진이 웹 페이지의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하고 분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각 장애인과 같은 보조 기술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도 웹 페이지의 내용을 더 잘 전달할 수 있습니다. 시맨틱 마크업 태그의 예시로는 , , , , , , 등의 요소가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는 각각 웹 페이지의 ..

728x90